선견지명
2012년 11월 13일 화요일
나는 남과 다르다.
리더가 중요하다.
협력학습이 가장 큰 말단은 개인학습이 되고 있는 것이다.
환경을 만드는게 중요하다.
활동 후 성찰일지 작성
분산인지 이론
감정과 동기가 중요해
사회적 스킬 / 리더십
협력학습 사이트를 개발하고 나서
협력학습은 참으로 좋은 것이다. 모두 자기가 맡은 역할을 열심히 할 경우 혼자 과제를 수행할 때보다 질 좋은 생산물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수업 시간의 주제인 협력학습 사이트를 개발에 많은 기여를 하고 싶었다. 그러나 생각뿐 이었고 컴퓨터 응용프로그램의 활용 관련해서 지식이 부족해서 큰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
어렸을 때부터 나는 컴퓨터랑 친하지 않았다. 나에게 컴퓨터는 단순한 문서 작업과 검색 그 이상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그래서 협력 사이트 만드는 동안 모든 내용이 생소했다. 동기들에게 물어보면 자세히 가르쳐 주었지만 계속 물어보기가 미안했으며 내 스스로 이런 것도 하지 못하다니 한심한 생각이 들기도 했다.
미래를 내다보았을 때 협력사이트 개발 관련해서 습득할 필요가 있겠구나 라는 생각을 했지만 나는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래서 일까? 혼자 독학으로 배우면 되겠지만 나는 그 시도를 하지 않았다. 요즘같은 시대에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면 살아남기 힘든 시기이다. 세계 최고의 휴대폰 점유율을 자랑했던 노키아 지금은 어렵게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컴퓨터와 여러 프로그램과 친해지고 싶은 마음은 많은데 웬지 모를 거리감부터 몰려온다. 지금 생각하건데 컴퓨터 프로그램 사용 관련해서 내 마음은 아직 닫혀 있다. 필요하다는 것을 또는 변화해야한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내 마음은 굳게 닫혀 있다. 가슴 한구석에 답답함이 밀려온다.
사람들은 새로운 것에 직면했을 때 판단을 한다. 받아들일 것인가? 기존의 것을 유지할 것인가? 또는 변화를 주도할 것인가? 주도를 당할 것인가? 지금까지 삶을 바탕으로 생각해 보니 내가 자신있으며 많이 알고 있는 분야에서는 변화를 주도해 왔고 반대로 자신이 없고 지식이 심층적이지 못한 경우에는 변화를 두려워하여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것이 일반적인 사람들이 갖는 세상의 이치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2012년 9월 18일 화요일
비고츠키의 더블 자극 실험 결과
우선 데이타 상으로 확실한 것은
1. 카드를 줄 때와 주지 않을 때 둘 다 성인 학습자에게는 실수가 줄어든다.
이것은 성인에게는 학습하는데 있어 언어적 혼동이 별로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2. 10살부터 13살의 경우 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 실수가 많은데 언어적 혼란을 겪고 있는
상태라고 생각한다.
3. 근접발달영역과 관련이 있습니다.
일정한 나이 이하 및 성인에게는 외부의 도움이 크게 작용하지 않고
10-13살 사이에서는 도구의 도움이 크게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1. 카드를 줄 때와 주지 않을 때 둘 다 성인 학습자에게는 실수가 줄어든다.
이것은 성인에게는 학습하는데 있어 언어적 혼동이 별로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2. 10살부터 13살의 경우 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 실수가 많은데 언어적 혼란을 겪고 있는
상태라고 생각한다.
3. 근접발달영역과 관련이 있습니다.
일정한 나이 이하 및 성인에게는 외부의 도움이 크게 작용하지 않고
10-13살 사이에서는 도구의 도움이 크게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톨만의 실험에 대한 생각
첫번째 실험
17일 동안 먹이를 준것과 주지 않은 것을 비교했을 때 보상을 해준 것이 확실히 시간을 단축시키는 결과가 나왔다. 이것은 행동주의 이론을 뒷받침을 하나 11일 이후 먹이를 주니깐 시간이 급속도로 단축은 시켰지만 그것이 일시적인 것이고 다시 먹이를 주는 것 만큼 따라갔다.
수정본
내재적 학습이 이루어 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번째 실험
왜 6번으로 가장 많은 쥐들이 갔을까?
=> 쥐도 판단을 할 줄 아는 것이다.
훈련을 받아서 연합이 이루어져도 그것이 훈련받은 대로 안되는 경우 또 다른 판단을 하게 된다. 관을 통해서 먹이 냄새가 나는 쪽으로 1차적으로 판단을 하여 먹이가 있는 5번 근처인 6번으로 갔을 것이다. 1번에 많이 간 이유는 쥐가 방향성이 숙달한대로 갔기 때문이다.
17일 동안 먹이를 준것과 주지 않은 것을 비교했을 때 보상을 해준 것이 확실히 시간을 단축시키는 결과가 나왔다. 이것은 행동주의 이론을 뒷받침을 하나 11일 이후 먹이를 주니깐 시간이 급속도로 단축은 시켰지만 그것이 일시적인 것이고 다시 먹이를 주는 것 만큼 따라갔다.
수정본
내재적 학습이 이루어 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번째 실험
왜 6번으로 가장 많은 쥐들이 갔을까?
=> 쥐도 판단을 할 줄 아는 것이다.
훈련을 받아서 연합이 이루어져도 그것이 훈련받은 대로 안되는 경우 또 다른 판단을 하게 된다. 관을 통해서 먹이 냄새가 나는 쪽으로 1차적으로 판단을 하여 먹이가 있는 5번 근처인 6번으로 갔을 것이다. 1번에 많이 간 이유는 쥐가 방향성이 숙달한대로 갔기 때문이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